주식 (홍무제의 15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식은 명나라 홍무제의 15남으로, 1377년에 태어나 1424년에 사망했다. 위왕, 요왕에 봉해졌으며, 요동 지역을 통치하다가 정난의 변으로 인해 남경으로 소환되었다. 이후 호광 형주부로 개봉되었으며, 영락제에 의해 호위가 삭탈되기도 했다. 사후 '간'의 시호가 내려졌으며, 묘소는 호광 형주부 강릉현 팔령산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무제의 황자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홍무제의 황자 - 영락제
영락제 주체는 명나라 3대 황제로, 북평왕 시절 정난의 변을 통해 황위를 찬탈한 후 베이징 천도와 정화의 해양 원정 지원 등 국력을 강화했으나 숙청과 팽창 정책으로 비판받았으며, 묘호는 태종에서 성조로 변경되었다. - 1424년 사망 - 여비 한씨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순장된 인물이다. - 1424년 사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1377년 출생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건축가, 조각가, 기술자로, 피렌체 대성당 돔 설계 및 건설, 선 원근법 체계화 등 건축과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만능인이다. - 1377년 출생 - 건문제
건문제는 명나라의 제2대 황제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나 숙부들의 반란으로 실종되었고 사후 복권되었다.
주식 (홍무제의 15남) | |
---|---|
기본 정보 | |
![]() | |
휘호 | 주식 (朱植) |
존호 | 요간왕(遼簡王) |
출생 | 1377년 3월 24일 |
사망 | 1424년 6월 4일 |
아버지 | 홍무제 |
어머니 | 한비 (韓妃) |
왕위 | |
작위 | 요왕(遼王) |
재위 기간 | 1392년–1424년 |
후계자 | 주귀하(朱貴烚) |
가문 | |
왕가 | 주씨 |
2. 생애
주식은 홍무 10년 2월 15일 (1377년 3월 24일)에 태어났으며, 생모는 고려 출신인 한씨(韓氏)이다. 홍무 11년(1378년) 위왕(衛王)에 처음 봉해졌고, 홍무 25년(1392년)에는 요왕(遼王)으로 다시 봉해져 이듬해 요동의 광녕위(廣寧衛, 현재의 랴오닝성 베이전시)로 봉지를 옮겼다.
요동 지역은 국경 지대였기에 주식은 군사 활동에 힘썼고 여러 차례 공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건문 연간에 연왕 주체가 정난지변을 일으키자, 건문제는 주식이 연왕 주체에게 협력할 것을 우려하여 그를 수도 남경으로 불러들였다. 이후 주식의 봉지는 호광(湖廣)의 형주부(荊州府, 현재의 후베이성 징저우시)로 변경되었다.
정난지변을 통해 황제가 된 영락제는 주식이 자신을 지지하지 않았던 것에 불만을 품고 그를 견제하였다. 영락 10년(1412년)에는 그의 호위 병력을 대폭 축소하기도 했다. 주식은 영락 22년 5월 8일 (1424년 6월 4일)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9월 1일 (9월 23일)에 '''간(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장남 주귀영이 일찍 사망하여 차남 주귀합이 요왕 작위를 계승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요동 통치
주식은 홍무 10년 2월 15일 (1377년 3월 24일)에 태어났다. 생모 한씨는 고려 출신으로, 아름다운 외모로 홍무제의 총애를 받아 비(妃)의 지위에 올랐다. 한씨는 홍무 13년(1380년)에 딸 함산공주를 낳았다.주식은 홍무 11년(1378년)에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홍무 25년(1392년)에는 요왕(遼王)으로 다시 봉해졌으며, 이듬해인 1393년에는 요동의 광녕위(廣寧衛, 현재의 랴오닝성 베이전시)로 봉지를 옮겼다. 그의 봉지는 동북쪽 국경 지대에 위치했기 때문에, 주식은 군사 훈련에 힘쓰며 여러 차례 무공을 세웠다.
건문 연간에 연왕 주체가 반란을 일으키자(정난지변), 건문제 조정은 주체의 봉지와 가까운 곳에 있던 주식이 그를 지지할 것을 염려하여 남경으로 소환했다. 주식은 건문제의 명령에 따라 배를 타고 해로를 통해 남경으로 이동했으며, 이후 호광(湖廣)의 형주부(荊州府, 현재의 후베이성 징저우시)로 봉지를 옮기게 되었다. 주체가 영락제가 된 후에는, 정난지변 당시 자신을 지지하지 않았던 주식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가졌다. 결국 영락 10년(1412년)에는 주식의 호위 병력을 대폭 줄여 하급 군관 300명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곳으로 보내버렸다.
주식은 영락 22년 5월 8일 (1424년 6월 4일)에 사망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 (9월 23일)에 '''간(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장남 주귀영이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차남 주귀합이 그해 10월에 요왕 작위를 계승하였다.
2. 2. 정난의 변과 형주 이봉
건문 연간에 연왕 주체가 정난지변을 일으키자, 조정에서는 연왕 주체와 가까운 요동에 주둔하고 있던 주식이 그를 지지할 것을 우려하였다. 이에 건문제는 주식을 수도인 남경으로 불러들였다. 주식은 황제의 명에 따라 배를 타고 남경으로 이동했으며, 이후 호광의 형주부(현재 후베이성 징저우시)로 봉지가 옮겨졌다.정난지변을 통해 영락제가 된 연왕 주체는 주식이 변란 당시에 자신을 지지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원망하는 마음을 품고 그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영락 10년(1412년)에는 주식의 호위 병력을 대폭 삭감하여, 하급 군관 300명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부서로 전출시켰다.
2. 3. 죽음
영락 22년 5월 8일 (1424년 6월 4일)에 사망하였다. 9월 1일 (9월 23일)에 시호는 '''간(簡)'''으로 정해졌다. 장남 주귀영이 일찍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차남 주귀합이 같은 해 10월에 요왕(遼王) 작위를 이어받았다.3. 가계
주식은 정비 곽씨[2]와 여러 후궁들 사이에서 총 20명의 아들과 13명의 딸[12]을 두었다.
3. 1. 부인
- '''정궁 왕비'''
- * 곽씨(郭氏) : 무정후(武定侯) 곽영의 딸. 홍무 27년(1394년) 요왕비(遼王妃)에 책봉되었다.[2]
- '''후궁'''
- * 정씨 부인(丁氏)[3]
- ** 주귀위(朱貴燰, 1399년 ~ 1471년) : 넷째 아들, 요숙왕(遼肅王)
- * 여씨 부인(呂氏)[4][5]
- ** 주귀창(朱貴焻, 1413년 ~ 1467년) : 열째 아들, 상음안희왕(湘陰安僖王)
- ** 주귀로(朱貴熡, 1424년 ~ 1468년) : 스무 번째 아들, 기수정화왕(蘄水靖和王)
- * 사씨 부인(謝氏)[6][7]
- ** 주귀희(朱貴㷂, 1414년 ~ 1457년) : 열두 번째 아들, 형양장화왕(衡陽莊和王)
- ** 주귀유(朱貴燏, 1415년 ~ 1472년) : 열일곱 번째 아들, 원릉공헌왕(沅陵恭憲王)
- ** 주귀욱(朱貴燠, 1417년 ~ 1442년) : 열여덟 번째 아들, 마양도희왕(麻陽悼僖王)
- ** 주귀찬(朱貴煘, 1421년 ~ 1476년) : 열아홉 번째 아들, 형산공혜왕(衡山恭惠王)
- * 설씨 부인(薛氏)[8]
- ** 주귀부(朱貴烰, 1412년 ~ 1448년) : 아홉 번째 아들, 익양안희왕(益陽安僖王)
- * 조씨 부인(趙氏)[9]
- ** 주귀계(朱貴㸎, 1414년 ~ 1446년) : 열네 번째 아들, 응산도공왕(應山悼恭王)
- * 송씨 부인(宋氏)[10]
- ** 주귀입(朱貴熠, 1415년 ~ 1453년) : 열여섯 번째 아들, 지강장혜왕(枝江莊惠王)
- * 장씨 부인(張氏)[11]
- ** 주귀형(朱貴烆, 1404년 ~ 1442년) : 여덟 번째 아들, 송지안혜왕(松滋安惠王)
- '''생모 불명'''
- * 주귀영(朱貴煐, 1397년 7월 25일 ~ 1424년) : 첫째 아들
- * 주귀삽(朱貴烚, 1397년 12월 29일 ~ 1449년) : 둘째 아들
- * 주귀섭(朱貴燮, 1399년 ~ 1466년) : 셋째 아들, 원안왕(遠安王)
- * 주귀헌(朱貴燉, 1400년 ~ 1452년) : 다섯째 아들
- * 주귀돈(朱貴炖, 1401년 ~ 1407년) : 여섯째 아들, 잠강왕(潛江王)
- * 주귀령(朱貴燯, 1403년 ~ 1406년) : 일곱째 아들, 의도왕(宜都王)
- * 열한 번째 아들 (요절)
- * 열세 번째 아들 (요절)
- * 주귀계(朱貴烓, 1414년 ~ 1474년) : 열다섯 번째 아들, 의성강간왕(宜城康簡王)
- * 강릉군주(江陵郡主) : 첫째 딸
- * 강화군주(江華郡主) : 아홉째 딸
- * 노계군주(瀘溪郡主) : 열째 딸
- * 죽산군주(竹山郡主) : 열한 번째 딸
- * 수녕군주(綏寧郡主) : 열두 번째 딸
- * 계동군주(桂東郡主) : 열세 번째 딸
(총 열세 명의 딸)[12]
3. 2. 자녀
주식의 정비는 곽영(郭英)의 딸인 곽씨(郭氏)로, 1394년에 료왕비로 책봉되었다.[2] 그 외에도 여러 후궁을 두었으며, 슬하에 총 20명의 아들과 13명의 딸을 두었다.[12]주요 후궁과 그 소생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정씨 부인(丁氏)[3]: 넷째 아들 요숙왕 주귀위(朱貴燰)
- 여씨 부인(呂氏)[4][5]: 열째 아들 상음안희왕 주귀창(朱貴焻), 스무 번째 아들 기수정화왕 주귀로(朱貴熡)
- 사씨 부인(謝氏)[6][7]: 열두 번째 아들 형양장화왕 주귀희(朱貴㷂), 열일곱 번째 아들 원릉공헌왕 주귀유(朱貴燏), 열여덟 번째 아들 마양도희왕 주귀욱(朱貴燠), 열아홉 번째 아들 형산공혜왕 주귀찬(朱貴煘)
- 설씨 부인(薛氏)[8]: 아홉 번째 아들 익양안희왕 주귀부(朱貴烰)
- 조씨 부인(趙氏)[9]: 열네 번째 아들 응산도공왕 주귀계(朱貴㸎)
- 송씨 부인(宋氏)[10]: 열여섯 번째 아들 지강장혜왕 주귀입(朱貴熠)
- 장씨 부인(張氏)[11]: 여덟 번째 아들 송자안혜왕 주귀형(朱貴烆)
이 외에도 생모를 알 수 없는 여러 아들과 딸들이 있다.[12]
3. 2. 1. 아들
3. 2. 2. 딸
주식은 총 13명의 딸을 두었다.[12] 알려진 딸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순서 | 봉호 | 의빈 (사위) |
---|---|---|
장녀 | 강릉군주(江陵郡主) | 조경(趙慶) |
9녀 | 강화군주(江華郡主) | 왕훈(王訓) |
10녀 | 노계군주(瀘溪郡主) | 주영벽(周英璧) |
11녀 | 죽산군주(竹山郡主) | 마문달(馬文達) |
12녀 | 수녕군주(綏寧郡主) | 장현(張璡) |
13녀 | 계동군주(桂東郡主) | 장걸(蔣傑) |
4. 묘소
홍희 원년 (1425년) 3월, 주식은 호광 형주부 강릉현 팔령산 (지금의 후베이성 형주시 강릉현 팔령산 남쪽 기슭)에 묻혔다. 1987년 9월부터 10월까지 형주박물관과 강릉현 문화재국에서 발굴하여 수습하였다.
참조
[1]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1995
[2]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235
[3]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93
[4]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48
[5]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60
[6]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330
[7]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97
[8]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165
[9]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143
[10]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233
[11]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58
[12]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33, Vol. 96, Vol. 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